적정기술학회지의 출판된 논문 전체(2015-2022년)에 대한 계량서지적 분석 연구 - 키워드 분석을 바탕으로 -

A Bibliometric Analysis for the All the Published Papers During 2015-2022 in the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Based on the Keyword Analysis

Article information

J Appropr Technol. 2023;9(2):74-80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August 30
doi : https://doi.org/10.37675/jat.2023.00283
1Center for Water Cycle Research,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5, Hwarang-Ro 14-gil, Seongbuk-Gu, Seoul 02792, Republic of Korea
2Division of Energy & Environment Technology, KIST School, Kore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5, Hwarang-Ro 14-gil, Seongbuk-Gu, Seoul 02792, Republic of Korea
정성필,1,2,
1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물자원순환연구단, 서울시 성북구 화랑로 14길 5, 02792, 대한민국
2한국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KIST 스쿨, 에너지-환경 전공, 서울시 성북구 화랑로 14길 5, 02792, 대한민국
To whom correspondence should be addressed. E-mail: spjeong@kist.re.kr
Received 2023 August 15; Revised 2023 August 16; Accepted 2023 August 17.

Abstract

적정기술 분야는 개발도상국 또는 사회적 약자 계층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과 방법론을 주로 다루는 학문 분야로서, 각종 물-에너지-식량 인프라, 교육 기회 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적정기술학회지는 적정기술 분야를 다루는 전문 학술지로서 2015년부터 발간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적정기술학회지의 다양한 연구 분야를 빠르게 파악하고 연구 동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계량서지적 분석 방법 중 키워드 분석을 적용하였다. 전체 대상 논문에 대하여 키워드를 확보하였으며, 키워드를 연도별, 키워드 작성 순서별로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도별 키워드를 바탕으로 게재 논문 수의 변화를 유추할 수 있었으며, 분야별 연구 동향 파악이 가능하였다. 또한, 키워드 작성 순서에 있어서, 연구주제가 상대적으로 앞쪽에 그 상세 내용인 연구방법론과 연구대상이 후순위로 작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AI 기반의 대규모 자료 확보 기술이 보완되는 경우, 타 분야 키워드 분석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rans Abstract

Because appropriate technology (AT) is mainly focusing on the technologies and methods for developing countries and vulnerable social group, the purpose of the AT could be providing water-energy-food infrastructure and education opportunity. The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JAT) is the professional journal on AT and has been published since 2015. In this study, the bibliometric analysis based on the keyword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research trends for various research topics. The keywords were collected from all the published JAT papers and analyzed according to publication year and order of appearance. As the results, the variation for the number of keywords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year was evaluated and research trends on the various AT topics were confirmed. The research areas in keywords were relatively prior to the methods and targets in keywords in the order of appearance. If huge data base could be collected by the help of AI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worth to mention that the keywords analysis of this study could be also used to other research topics.

Introduction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는 1966년 에른스트 프리드리드 슈마허(Ernst Friedrich Schmacher)가 제안한 중간 기술(Intermediate technology)이 개발 및 발전된 형태로서, 경제적으로 풍족하지 않은 사회적 약자 또는 개발도상국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제안되어 왔다. 따라서, 현지에서 생산 가능한 소재를 활용하여 저렴하게 구성될 수 있는 기술로부터(Heo et al., 2021; Foong et al., 2022), 선진국에서 최신 기술을 이용하여 고성능의 장치를 제작하고 각종 원조 기구가 그 비용을 제공하는 방식(Jung et al., 2022; Jeong et al., 2022)까지 다양한 적정기술의 형태가 제시되고 있다. 특히, 사회적 약자 또는 개발도상국의 수요에 맞는 물-에너지-식량(water-energy-food)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술적인 해법 뿐만 아니라 교육, 커뮤니티 형성 등 사회적인 해법까지 다양하게 도입이 되고 있으며(Kang et al., 2021), 현지 적용을 위하여 상당한 부분을 NGO (Nongovernment organization) 또는 봉사활동 단체에 의존하고 있다(Lee et al., 2021a). 적정기술을 사업화하고자 하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현지 주민 또는 지역 전문가들과의 연계를 통한 성공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Baek et al., 2021; Lee et al., 2021a). 특히, 이러한 사례들을 학술적으로 공유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장으로서 적정기술국제학회 또는 적정기술학회지가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적정기술학회지는 2015년부터 발간된 적정기술분야 전문 학술지로서 환경(수처리) 및 에너지 분야를 시작으로 다양한 연구 논문이 게재되었다. 2015년부터 2022년까지 총 134건의 논문이 게재되었으며, 중복을 포함하여 총 533명의 저자가 참여하는 등 연평균 20편 이상의 논문이 게재되는 저널로 성장하였다(Jeong, 2023). 특히, 최근 들어 새로운 주제들이 적정기술학회지에 다수 게재되었으며, 논문 저자들의 소속도 다양해짐에 따라, 학회지가 앞으로 지속적으로 성장을 하기 위한 방안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 동안 게재된 논문들의 특징을 이해할 필요가 있었다.

특정 한 분야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리뷰 논문을 읽는 방법이 가장 빠르게 동향을 파악할 수 있으나, 적정기술학회지의 경우, 연구 분야가 다양하여 관련 논문을 모두 읽거나 파악하는 일은 드문 일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주제를 가진 논문의 공통 분야를 파악할 수 있을 방법으로서, 논문의 제목 뿐 만 아니라, 초록, 키워드, 발행 논문 수, 저자 네트워크 분석 등을 포함하는 계량서지적 분석을 이용할 수 있다(Glasscook, 2022; Jeong, 2023; Lee et al., 2021b; Kwak and Jeong, 2021).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적정기술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의 연도별, 키워드 순서별 키워드 분석을 통하여 적정기술학회지 내 게재된 논문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키워드를 통한 논문 경향 파악이 가능한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Materials and Methods

1. 논문 자료 확보 및 분석방법

적정기술학회지 1호(2015년)부터 8호(2022년)까지 게재된 논문 자료를 적정기술학회지 공식 홈페이지(https://www.e-jat.org/)에서 받아서 분석의 대상으로 활용하였다.

저자의 작성 순서에 따라서 각 논문별로 최대 10개까지 키워드를 도출하고, 이 키워드들을 엑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총 62 7개로 최종 정리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논문 수는 총 133건이었으며, 키워드가 없는 논문이 2건 있었으며, 35건의 논문은 키워드가 알파벳 순으로 배치되어 있었다.

그 후, 적정기술학회지에 자주 활용되는 키워드 또는 여러 키워드를 통합할 수 있는 묶음 키워드로 아래의 24개의 중심 키워드(assigned keywords)를 정하였다. 아래의 키워드별로 각 숫자를 키워드 위치별 및 연도별로 정리하여 전체 논문의 관심 동향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각 중심 키워드는 1)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 2) 농업, 축산 및 식량(Agriculture, animal husbandry, fishing, food), 3) 건축(Architecture), 4) 교육 및 과학 (Education, project, scientific topics), 5) 에너지(Energy), 6) 정보화 기술(IT (Information technology)), 7) 팹랩, 리빙랩, 메이커스 활동(Fablab, living lab, makerspace), 8) 사회학(Social), 9) 수학적 방법론(Mathematical methods), 10) 공학적 방법론(Engineering methods), 11) 사회학적 방법론(Social methods), 12) 소재 (Materials), 13) 장치 또는 현장 적용(Device or field application), 14), 대상지 또는 대상 공정(Target area or process), 15) 질병(Disease), 16) 진단기술(Diagnostic kit), 17) 건강(Health), 18) 오염물질(Contaminant), 19) 폐기물(Waste), 20) 식수(Drinking water), 21) 신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 22)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23) 개발도상국 또는 취약계층(Developing country or vulnerable social group), 24) 공적원조(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이었다.

Results and Discussions

1. Analysis of the keywords data

엑셀로 정리된 총 133건의 논문에서 627건의 키워드가 있었으며, 평균 키워드 수는 4.7이었으며, 표준편차는 1.23, 최소 0 최대 10의 키워드를 가진 분포형태를 가졌다. 전체 627개의 키워드 중에서 앞의 Table 1에 24개의 중심 키워드별 키워드 배치를 Figure 1에 나타내었다. 중심 키워드 중 가장 많은 키워드로 포함된 것은 Engineering methods였으며, 전체 키워드의 14.8% (93개/627개)를 차지했으며, 이는 1개 논문 기준으로 0.7 (93개/133논문)개 정도 포함되는 수준이었다. 적정기술학회지가 적정기술 전 분야를 다루고 있으나, 논문 수에서는 공학적 접근방법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많은 키워드 묶음은 IT였으며, 전체 키워드의 11.5% (72개/627개)를 차지하였다. 지난 적정기술 계량서지적 분석 논문(Jeong, 2023)에서 기계공학 분야 논문이 다수 게재되었으며, 기계공학 분야의 논문들이 주로 IT 주제를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키워드 분석 과정에서 타 분야 논문에서도 IT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는 연구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교육 및 과학 분야(Education, projects, scientific topics), 개발도상국 또는 취약계층(Developing country or vulnerable social group), 장치 또는 현장 적용(Device or field application),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 등의 순으로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여기서,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 키워드는 첫번째 키워드(K1)로 18번 사용되었으며, 이 중 5번만 알파벳 순으로 첫번째에 배치되고, 13번은 저자의 선택에 의해 1번 키워드로 사용될 만큼 중요한 키워드로 분석된다. 적정기술 연구 분야의 경우, 분야 이름이 키워드로 활용될 수 있는 초기 연구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List of the assigned keywords for the keyword analysis

Figure 1.

Number of keywords by assigned keyword and order of keyword (K1~K10).

2. Frequency of keywords in descending order

논문 전체 중에 총 133건의 대상 논문 중 35건의 논문의 키워드의 경우, 키워드의 작성 순서가 알파벳 순서로 되어 있었으나, 98건의 논문은 알파벳 순으로 되어 있지 않았다. 알파벳 순서로 작성된 키워드의 숫자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우선, Table 2에 모든 논문에 대한 각 키워드 순서별로 많이 사용된 중심 키워드의 랭킹을 나타내었다. 키워드 K7-K10의 경우는 1-2회씩 밖에 존재하지 않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앞의 Figure 1에 나타나 있듯이, 전반적으로 많이 사용된 중심 키워드들이 상위 랭킹에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적정기술학회 논문의 주요 키워드로 Table 2에 나타난 키워드들을 선정할 수 있었다. 해당 중심 키워드들을 Table 1에서 정의한 키워드 그룹으로 재분류해 보면, 연구 분야(research areas) 관련된 키워드가 16개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연구방법론(methods: 9), 연구대상(targets: 5)의 순서로 정리될 수 있었다.

Abundance of keywords by order and group (research areas: yellow (16), methods: blue (9), targets: green (5))

3. Detailed analysis of the keywords in research area

연구분야 중심으로 키워드 숫자를 확인해 본 결과, 정보화 기술(IT), 지원(Aids****), 교육 및 과학(Education, project, scientific topics), 환경(Environmental**), 의료(Medical*),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 회복탄력성(Resilience***), 에너지(Energy), 사회(Social), 팹랩, 리빙랩, 메이커스 활동(FabLab, living lab, makerspace), 농업, 축산 및 식량(Agriculture, animal husbandry, fishing, food), 건축(Architecture) 순으로 키워드 숫자가 많았다. 결과에 따르면, 적정기술학회의 시작시점에 주요 분야였던 수처리 및 환경분야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확인되어, 이런 변화가 언제 발생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연도별로 키워드 변화를 확인해 보았다.

연구 분야별 및 연도별로 키워드 숫자를 파악한 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아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2015-2018년 시기에는 주로 에너지(Energy), 환경(Environmental**) 분야의 키워드들이 많이 도출되었으나, 2019년 이후로 정보화 기술(IT), 교육 및 과학(Education, project, scientific topics), 의료(Medical*), 지원(Aids****) 분야의 키워드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특히, 의료(Medical*) 분야의 키워드 증가는 2020년에 COVID-19 관련 특별호가 추진된 바가 있고, COVID-19 제외하고서도 기타 질병 관련 키워드들(Chronic disease, Noncommunicable disease (NCD), Hyperbilirubinemia, Jaundice, AIDS, Korean Society Type 1 Diabetes, Hepatitis B, Syphilis)이 많이 나타났다. 즉, 논문 전체를 이해하지 않더라도, 키워드의 분류 및 그 개수의 증가를 바탕으로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Number of keywords used in research areas over time

4. Summary of keywords by research area, methods, and targets

Table 4(a)-(b)에 키워드의 순서(K1~K6)와 키워드의 그룹(연구분야(Research areas), 연구방법론(Methods), 연구대상(Targets)) 별로 백분율로 존재비를 조사하여 나타내었다. 적정기술학회지에 작성된 키워드들은 Table 4(a)에서 볼 수 있듯이, 연구분야에 대한 키워드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키워드의 앞쪽에 배치되는 것으로 보이며, 연구방법론과 연구대상은 뒤쪽에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able 4(b)에 나타난 것처럼, 연구분야에 대한 키워드가 대부분이었으며, 연구방법론과 연구대상이 각 키워드 순서에서 갖는 존재비는 낮았다. 따라서, 적정기술학회지의 키워드 분석을 통하여, 주로 연구분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연구방법론과 연구대상을 함께 확인할 수 있어, 키워드를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연구의 방향성 파악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ummarized occurrences (%) of the groups of keywords according to the (a)-(b) order and (c)-(d) years of keywords

(a) Each occurrence of research areas, methods, and targets according to the order of keywords

(b) Occurrences of research areas, methods, and targets according to each order of keywords

또한, 연도별로 키워드 비율을 Table 4(c)-(d)에 나타내 보았다. Table 4(c)의 결과를 보면, 모든 키워드의 비율이 최근 연도로 올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논문 별 평균 키워드의 수가 약 4.7 정도 인 것을 보았을 때, 논문 발표 편수가 증가함에 따라 연도별 키워드 숫자도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연도별 키워드 숫자를 바탕으로 논문 편수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Table 4(d)의 결과를 보면, 연구분야에 대한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연구방법론에 대한 비율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에 비해 연구대상의 비율은 비슷하게 유지되고 있었다. Table 3의 결과에서 2019년 이후로 정보화 기술(IT), 교육 및 과학(Education, project, scientific topics), 의료(Medical*), 지원(Aids****) 분야의 키워드 수가 급격히 증가한 부분이 연구분야의 비율을 증가시킨 이유로 파악된다. 특정 키워드의 증가가 주제명으로 증가하고 그 주제의 상세 조건을 설명하는 연구방법론과 연구대상에 대한 숫자가 적은 것은 위의 언급된 연구 분야의 특징이거나 신규 주제 발굴에 따른 상세 조건 보다 주제가 우선하는 경우일 것이라고도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 Each occurrence of research areas, methods, and targets according to the years of keywords

(d) Occurrences of research areas, methods, and targets according to each year of keywords

Conclusions

적정기술학회지의 전체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내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방안으로 키워드 분석을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체 키워드를 연구분야, 연구방법론 및 연구 대상으로 구분하고 그 안에 24개의 중심 키워드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적정기술분야 논문에서 키워드의 순서 및 연도별 개수 파악을 통하여 연구분야가 연구 키워드의 앞쪽 순서로 배치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연구방법론과 연구대상이 상대적으로 뒤쪽 순서로 배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분야에 대한 키워드가 연구방법론 및 연구대상에 비해 숫자가 많은 것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연도별 키워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키워드 증가가 논문 편수 변화와 연동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도별 연구세부 내용 파악을 통하여, 적정기술학회지에 게재되는 다양한 주제 중에서 정보화 기술(IT), 교육 및 과학(Education, project, scientific topics), 의료(Medical*), 지원(Aids****) 분야가 최근 크게 성장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키워드 분석의 경우 이 논문에서는 엑셀을 기반으로 분석되었으나, AI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 빠른 시간 내에 전체 연구 동향과 변화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2E32442).

References

Baek D.-J., Yun C.-Y., Oh Y.-J.. 2021;A Case Study on Commercialization of Appropriate Technology in Lao PDR: Focusing on Lao-Korea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7(2):225–234.
Foong Y., Browning S., Seay J.. 2022;An Appropriate Technology Approach for Utilizing Plastic Waste Derived Cooking Fuel to Reduce Indoor Air Pollution from Solid Fuel Cooking.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8(3):101–108.
Glasscook J.A.. 2022;An Overview of Fifty Years of Appropriate Technology Research Using Bibliometric Analysis.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8(1):17–26.
Heo H., Choi M.-J, Im T.H., Cho J.. 2021;A Field Study for Sustainable Community Empowerment through Appropriate Technology of Water Purification and the Concept of Feces Standard Money in Hatphain Village, Lao PDR.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7(2):151–161.
Jeong S., Kim H.-Y., Cho K., Yang D., Kim S.-R., Park S.- H. 2022;Installation of the Brackish Water Reverse Osmosis System Coupled with Solar Power for Drinking Water Production in Ben Tre, Vietnam Considering Water Usage and Cost.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8(2):75–84.
Jung W.-K., Lee J.-W., Lee S.-W., Jee E.-J., Jung W.-K.. 2022;A Plan to Secur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Fashion Industry: Focusing on Fashion Design and Smartiz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8(2):56–65.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2023) https://www.e-jat.org/.
Kang S.Y., Lee M.M., Kim Y.H., Nam E.Y., Lee S.K.. 2021;The Impact of COVID-19 on the Labor Market in India: Focusing on the Expansion of the Labor Gap and Digitization.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7(1):102–114.
Kwak J., Jeong S.. 2021;Network Analysis Based the Trends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propriate Technology (ICAT).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7(1):85–92.
Lee G., Kim H.-W., Boo C., Beak Y., Kwak R., Kim C., Jeong S.. 2021b;Bibliometric analysis of twenty-year research trend in desalination technologies during 2000-2020.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35(1):39–52.
Lee S., Choi Y., Park S., Kim Y., Jeong S.. 2021a;Analysis of SEWB Activities on Appropriate Technology in Korea and in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Cambodia.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7(1):93–101.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Number of keywords by assigned keyword and order of keyword (K1~K10).

Table 1.

List of the assigned keywords for the keyword analysis

Groups Assigned keywords
Research areas 1) Appropriate technology
2) Agriculture, animal husbandry, fishing, food
3) Architecture
4) Education, project, scientific topics
5) Energy
6) IT (Information technology)
7) Fablab, living lab, makerspace
8) Social
 Medical*
 Environmental**
 Resilience***
 Aids****
Methods 9) Mathematical methods
10) Engineering methods
11) Social methods
Targets 12) Materials
13) Device or field application
14) Target area or process
Medical* 15) Disease (COVID-19, etc.)
16) Diagnostic kit
17) Health
Environmental** 18) Contaminant
19) Waste
20) Drinking water
Resilience*** 21) Renewable energy
22) Sustainability
Aids**** 23) Developing country or vulnerable social group
24)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Table 2.

Abundance of keywords by order and group (research areas: yellow (16), methods: blue (9), targets: green (5))

K1 K2 K3 K K5 K6
1st ranking Appropriate technology Engineering Methods Engineering Methods Engineering Methods Engineering Methods Education, project, scientific topics
2nd ranking Engineering Methods IT Education, project, scientific topics IT IT IT
3rd ranking IT Developing country or vulnerable social group Developing country or vulnerable social group Device or field application Mathematical methods Device or field application
4th ranking Developing country or vulnerable social group Social Methods IT Education, project, scientific topics Device or field application Engineering Methods
5th ranking Device or field application Education, project, scientific topics Target area or process Social Methods Education, project, scientific topics Appropriate technology

Table 3.

Number of keywords used in research areas over time

Keywords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Total
Appropriate technology 3 3 5 6 3 6 6 6 38
Agriculture, animal husbandry, fishing, food 0 0 1 1 0 5 2 1 10
Architecture 0 0 2 1 0 2 0 0 5
Education, project, scientific topics 3 4 5 3 8 8 14 5 50
Energy 0 0 9 4 2 0 0 3 18
IT (Information technology) 2 0 3 1 7 15 19 25 72
FabLab, living lab, makerspace 0 1 1 0 0 4 1 3 10
Social 0 1 4 1 1 1 7 1 16
Medical* 0 0 0 0 2 12 18 12 44
- Health 0 0 0 0 1 2 7 2 12
- Diagnostic kit 0 0 0 0 1 3 4 6 14
- Disease (COVID-19, etc.) 0 0 0 0 0 7 7 4 18
Environmental** 5 5 5 10 3 7 5 5 45
- Waste 0 0 1 1 1 2 0 1 6
- Drinking water 1 3 2 6 2 3 4 2 23
- Contaminant 4 2 2 3 0 2 1 2 16
Resilience*** 4 1 0 3 5 4 7 7 31
- Sustainability 1 1 0 1 2 2 5 4 16
- Renewable energy 3 0 0 2 3 2 2 3 15
Aids**** 2 4 3 9 8 13 11 4 54
-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0 0 0 3 2 2 3 0 10
- Developing country or vulnerable social group 2 4 3 6 6 11 8 4 44

Table 4.

Summarized occurrences (%) of the groups of keywords according to the (a)-(b) order and (c)-(d) years of keywords

(a) Each occurrence of research areas, methods, and targets according to the order of keywords

K1 K2 K3 K4 K5 K6 Total (%)
Research areas 26 21 20 16 12 6 100
Methods 1 23 19 25 16 2 100
Targets 12 16 30 23 11 7 100

(b) Occurrences of research areas, methods, and targets according to each order of keywords

K1 K2 K3 K4 K5 K6
Research areas 76 63 58 51 58 71
Methods 17 27 22 32 31 10
Targets 8 10 19 16 11 19
Total (%) 100 100 100 100 100 100

(c) Each occurrence of research areas, methods, and targets according to the years of keywords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Total (%)
Research areas 5 5 10 10 10 20 23 18 100
Methods 9 11 8 1 1 18 11 14 100
Targets 7 10 11 10 9 17 13 23 100

(d) Occurrences of research areas, methods, and targets according to each year of keywords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Research areas 49 43 65 56 58 64 77 64
Methods 36 39 20 32 32 2 1 19
Targets 15 18 15 12 10 12 9 17
Total (%)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