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Appropr Technol > Volume 8(2); 2022 > Article
청소년 적정기술 아이디어 스케치대회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Abstract

지금까지 대부분의 청소년 및 대학생 관련 적정기술 행사는 캠프 형식으로 2-4일 정도의 일정으로 단기간에 한 장소에 모여서 적정기술 및 공학설계 방법론에 대한 집중적인 강연과 조별 실습을 통해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최종 발표하는 플랫폼으로 프로그램이 진행하거나 또는 당일 경진대회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프로그램을 3-4개월간의 참여기간을 갖는 단기스쿨 형식으로 진행된 ‘청소년 아이디어 스케치 대회’의 개발과정과 적용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청소년을 위한 적정기술 과학교실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다음 프로그램 계획을 위해 대회 종류 후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중 본 대회를 직접 기획하고 진행한 운영위원의 피드백을 분석함으로써 프로그램 개발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그 뒤 이 대회에 참가한 국내외 학생의 학교 분포와 아이디어 주제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또한 참가팀의 국내외 중고등학교 분포 및 참가팀의 아이디어 주제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회 전체적인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멘토링에 참여한 현직 교수 및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멘토 및 학생들의 경험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대회 분석을 토대로 향후, 더 좋은 청소년 적정기술 과학교실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Until now, most youth and college student-related appropriate technology events have been held in a short period of 2 to 4 days in the short camp setting, with intensive lectures on appropriate technology and engineering design methodologies, and a platform to develop and present ideas through group practice, or in the form of a compet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application results of the Youth Idea Sketch Contest, which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a short-term school with a 3-4 month participation perio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n appropriate technology science class program for teenagers in the future. In particular, among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after the type of competition for the next program plan,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was examined in detail by analyzing the feedback of the steering committee who planned and conducted the competition. After that, the school distribution and idea topics of domestic and foreign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competition were also analyzed.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the participating teams' domestic and foreig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the theme of the participating teams' ideas were analyzed. In addition, by conducting a survey of incumbent professors and researchers who participated in mentoring to evaluate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competition and analyzing it, it was possible to indirectly grasp the experiences of mentors and students. Based on this competition analysis in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etter youth appropriate technology science class programs in the future.

Introduction

우리나라에서 적정기술 개발 활동과 관련 연구는 2009년을 기점으로 한동대학교와 한밭대학교, 크리스천과학기술포럼 등 대학과 시민단체 등에서 대학 공학 교육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Park and Hong, 2016).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단기 교육의 적정기술 분야 공학설계 교육 중 하나는 2008년도부터 한동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와 크리스천과학기술포럼이 주관이 되어 전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해온 “소외된 90%를 위한 공학설계아카데미”이다. 이 공학 설계아카데미는 강의와 실습을 통해 전공봉사활동을 실제로 하기 전에 개발도상국의 현지 문제를 공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의식적 변화 및 공학적 준비를 할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Yi et al., 2013).
청소년을 위한 적정기술 교육프로그램의 경우, 적정기술의 이해 및 발명교육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중간기술’로의 인식에서 제3세계의 개발 도상국을 위한 적정기술(Schumacher, 1973)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운영되었다. 하지만 최근 대학교육에서 적정기술교육을 도입하면서 적정기술이 단순히 가난하고 소외받는 자들을 위한 저가의 낮은 기술만이 아니라 ICT 및 블록체인과 같은 첨단과학기술이 아프리카 등지 공동체 사회에 선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적정기술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Shin and Lee, 2017).
최근의 연구에서는 블록체인기술을 주제로 청소년 적정기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참가자들의 만족도와 운영위원의 만족도를 성찰해봄으로써 청소년 적정기술 교육프로그램의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Kim and Kim, 2019).
본 글에서는 2021년 청소년 아이디어 스케치 대회에서 시도한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위원들의 준비과정부터 실행까지 프로그램이 어떻게 준비되었는지 소개하고자 한다. 한편 여러 참여 주체들에 대한 설문조사의 응답을 정리함으로써를 통해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고 각각의 참여 주체들의 경험을 축적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이와 유사한 여러 청소년 관련 적정기술 경진대회를 준비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다.

Program Development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금까지 대부분의 아카데미는 캠프 형식으로 2-4일 정도의 일정으로 단기간에 한 장소에 모여서 적정기술 및 공학설계 방법론에 대한 집중적인 강연과 조별 실습을 통해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최종 발표하는 플랫폼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집중도 면에서는 효과적이지만, 실제로 강연을 소화하고, 실습을 통해서도 실제적으로 시제품 재료를 구입하고 시행착오를 거쳐 완성해가기에는 시간적, 장소적 제한 요소가 있기 마련이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지금까지 단기적인 대회와는 성격이 달리하여 참가학생들이 대회에 참여하여 성장을 하도록 하기 위해 3-4 개월의 참여기간을 갖는 스쿨 형식의 플랫폼으로 시도하였다.
여기서는 본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과 프로그램 운영 단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 대회 프로그램 개발 과정

우선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는 과학기술자와 교육자로 구성된 운영위원들이 온라인회의를 통해 일차적으로 프로그램 기획 및 개발하였다. 2021년 청소년 아이디어 스케치대회의 프로그램 개발은 수차례의 온라인 운영위원 회의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프로그램의 기존 운영위원은 기존의 적정기술학회에서 청소년 프로그램을 담당했거나 유럽에 거주하고 있는 아이드림 협회의 과학기술자 회원들로 구성되었으며, 2021년에는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추가적으로 참여하였다. 운영위원들은 국가와 지역이 달라 2021년 1월부터 행사 종료일은 9월까지 매주 온라인 회의를 통해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문제점을 보완해 나갔다. 한편 매월 온라인 회의와 전문가의 워크샵을 통해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문제점을 보완해 나갔으며 행사를 본격적으로 준비하는 4월부터는 매주 회의를 통해 프로그램의 세부적 내용을 조율하고 카페와 단톡방을 통해 참가학생들과 소통하며 관리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운영회의와 연구회의 주요 활동 내용을 요약하면 Table 1과 같다.
2021년 청소년 아이디어 스케치 대회의 핵심 가치로 운영위원은 대회를 단지 하루에 발표와 평가를 하는 일회성 대회로 하는 것이 아니라 참가학생들이 대회를 통해 적정기술이라는 철학에 대해 이해하고 성장하도록 하는데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에 동의하였다. 특히 결과만으로 수월성을 판정하고 시상하기보다 적정기술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심화 시키는 교육과정에 더 주안점을 두었다. 이러한 전략을 바탕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아이디어제안, 워크샵, 중간 발표 및 최종발표 및 멘토링 등이 프로그램에 포함하였다. 대회는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 전과정이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2. 대회 운영방침 및 프로그램

적정기술학회에 소속된 전문가들의 멘토링을 통해 전문 지식에 대한 자문을 받으며 아이디어를 펼치고 토론과 사고실험 그리고 자문을 통해 프로토타입까지 구상해보는 아이디어스케치 형태로 구성하였다. 참가대상으로는 국내외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3~5인으로 하나의 팀을 구성 후 참가하도록 하였다. 실험 및 활동에서의 안전성 확보와 공교육을 통한 제도권 교육활동을 위해 지도교사를 두도록 권장하였다.
운영위원들이 확정한 최종 대회 프로그램은 총 4단계로 1단계 작품계획서 제출부터 4단계 최종발표까지로 아래 에 요약되어 있다.
한편 멘토링이 워크샵 이후부터 시작되도록 각 참가팀에 적합한 멘토들을 매칭하였으며, 멘토링은 사례와 관련된 데이터와 자료 찾는 방법 및 문제의 원인을 다 각도로 생각해볼 수 있도록 안내와 자문을 하고,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연구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대회의 심사기준은 총 4개의 과정을 중심으로 아래와 같은 가중치를 가지고 평가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대회 준비(20%): 1단계 작품계획서
• 탐구 과정(20%): 2단계 워크샵,
• 사고의 확장(30%): 3단계 중간 동영상,
• 성장/완성도(30%): 4단계 최종 동영상 및 발표

3. 대회 운영 현황

2021년 청소년 아이디어 스케치 대회는 총 66팀이 신청을 하였고 최종단계까지 48팀(202명)이 수료하였다. 최종 수료팀 48 팀은 국내의 중고등학교 및 대안학교 36팀과 해외 중고등학교 12팀(베트남 5팀, 필리핀 1팀, 프랑스 1팀, 미국 3팀, 탄자니아 2팀)으로 구성되었다.
참가팀의 아이디어 제안 분야는 에너지, 물, 환경, 교육, 의료, 기후, ICT 등 다양하였으며, 운영위원들이 다양한 참가팀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멘토링하기 위해 NatureEnvironment (에너지, 물, 환경), Life-Society (교육, 의료, 국제협력, 기후, 등), Pioneer-Engineering (제조, ICT, 건축, 지역개발, 농업)이라는 그룹으로 구분하여 대회 전반을 진행하였으며, 참가팀별 아이디어제안 제목들을 Table 3에 요약하였다.

Survey Method

본 연구는 적정기술학회에서 적정기술 아이디어 스케치대회(SMART 경진대회) 개발과 실제 적용을 통한 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회 운영위원, 멘토로 참가한 교수 및 연구원, 지도교사 및 참여학생 등 전체 참여군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다.
운영위원들은 적정기술학회와 아이드림협회에서 주축이 되어 적정기술교육연구회에 참여하고 있는 선생님들로 구성되었으며, 상당수는 처음으로 적정기술을 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멘토들은 연구소, 대학 등 주로 자연과학, 공학, 의약학, 과학교육학 전공 계열로 대부분 적정기술학회 소속 회원이었으며, 적정기술에 대한 상당기간의 경험을 지니고 있었다. 지도교사들은 참가학생 팀의 교사들로 구성되었으며 대부분 적정기술에 대해서는 처음으로 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참가학생들은 국내 및 해외 중고등학생들로 구성되었는데 대부분 처음으로 적정기술을 접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멘토들은 과학기술자들은 10년 이상 전공 분야 경력과 거주국에서 적정기술연구회에 참여하면서 개발도상국을 위한 적정기술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해 적정기술의 확산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과학기술자들은 대부분 적정기술개발 및 현지 보급을 주로 했으며 청소년 대상 교육 경험은 많지 않았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대회 이후 구글설문지를 통해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자료로 운영위원들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과정과 관련한 회의 및 운영 자료, 대회 기간에 직접 참여하면서 관찰을 기록한 일지 및 동영상, 참가팀들의 최종산출물들 및 대회 이후 운영위원 피드백 미팅의 회의록 등을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운영위원과 멘토를 대상으로 별도의 설문 문항을 통해서 아래와 같이 각각 진행하였다.
• 운영위원 설문조사: 총 21 문항(선택형 및 단답형, 서술형 조합), 총 15명 중 8명 응답
• 멘토 설문조사: 총 12 문항(선택형 및 단답형, 서술형 조합), 총 17명 중 9명 응답

Survey results

1. 운영위원 설문 결과

본 설문에 참여한 운영위원의 75%는 적정기술학회 소속의 교사이거나 연구원이었다. 청소년 아이디어 스케치 대회에 참가한 운영위원들은 전반적으로 청소년 아이디어 스케치 대회 및 운영에 대해 75%의 운영위원들이 긍정적인 만족도를 응답했다. 또한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에 대해 특히 참가학생들과 운영진과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대한 만족도 는 카카오톡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자세한 내용은 Figure 1에서 살펴 볼 수 있다.
이외에 참가팀의 제출 자료로 받은 동영상의 분량은 대체로 이번 대회에서 요청한 3분이 적당하다고 대답하였으며(75%), 25%의 응답결과는 5분으로 분량을 올리는 것을 선호하였다.
또한 청소년 아이디어 스케치 대회의 차별성에 대한 의견을 묻는 오픈 질문이 있었으며 그 중 몇가지를 아래에 정리하였다.
• 해외 고등학교(프랑스, 미국, 베트남, 탄자니아 등) 글로벌한 참가자들로 인해 참가자들 간에 긴장감이 더해져서 대회가 더 의미 있었음.
• 동반성장 및 기술을 통한 나눔 정신 등이라는 대회의 목적이 학생들에게 큰 의미를 부여했으며,학생들에게도 많은 도움을 주었다고 생각함.
• 다양한 분야(교사, 연구원, NGO 등 단체)의 운영위원들과의 협업이 의미있었음
• 대회의 성격을 학생들의 성장에 중점을 두어 장기적인 프로그램 성격으로 변경하다보니 프로그램 플랫폼을 세팅하기 위해 다양한 협의를 해야 했기 때문에 상당한 커미트먼트를 요구했었음.

2. 멘토 설문 결과

본 설문에 참여한 멘토의 대부분은적정기술학회 소속의 교수 및 연구원이었다. 대부분의 멘토들은 청소년 아이디어 스케치 대회에 참여하면서 처음으로 청소년 교육에 대한 고민을 하기 시작하였다고 응답하였다.
멘토링은 참가팀의 아이디어 주제에 따라 멘토들의 전문 분야를 고려하여 운영위원이 매칭을 하였으며 각 멘토들이 참가팀과 함께 1차례 이상의 줌회의를 통해 참가팀들의 아이디어 및 아이디어 실현 방안에 대한 리뷰 및 피드백을 제공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이러한 멘토링 등 운영에 대해 멘토들에 대해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Figure 2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참여한 대부분의 멘토들은 만족 또는 아주 만족의 응답을 보였다.
Figure 3에서는 멘토당 참가팀 할당을 살펴보았으며 보통 2 팀을 한 멘토가 당당하였고 일부는 5팀 이상을 하기도 하였다. 멘토가 멘토링을 위해 사용한 시간을 조사하였으며 멘토들은 대체로 3-5시간 정도의 시간을 할애하였으며, 일부는 10시간 정도의 시간을 사용하였다.
특히 멘토링이 참가학생들에게 어떤 도움을 주었 을지에 대해서 멘토가 생각하는 멘토링 목표 우선순위를 Figure 4에 표현하였다. 여기에서는 멘토마다 3개의 목표를 우선순위를 가지고 선택하도록 하였다. 숫자가 나타내는 의미는 1은 1순위, 2는 2순위, 3은 3순위위며, 예를 들어 항목이 말하는 숫자 11222의 의미는 1순위로 2명, 2순위로 3명이 응답한 것을 나타낸다. 이 결과를 통해 살펴본 멘토링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문제상황을 정확히 이해하는 부분(#1), 문제 상황에 대한 공감하는 부분(#2) 및 아이디어 검증, 탐구를 설계하는 과정(#5)으로 보여주었다.
또한 청소년 아이디어 스케치 대회의 차별성에 대한 의견을 멘토들에게 요청하였으며 의미 있는 답변 몇 가지를 아래에 정리하였다.
• 학생들의 탐구 과정 및 성장과정을 보는 것이 즐거웠으며 학생들의 동기 유발이 인상적이었으며 아주 의미 있고 보람찬 대회였다고 생각함.
• 운영진과 멘토 사이에 전체적인 일정과 역할 등에 대한 명확한 의사소통 채널이 개선될 필요가 있음.
• 배정팀이 많고 일부 팀은 동기유발이 상대적으로 약한 팀들이 있음. 열정이 높은 팀 중심으로 소수 정예로 멘토링 하는 것 추천함.
• 팀별로 다소 차이가 있긴 하였으나 중고등학생들이 생각하는 수준이 전반적으로 기대보다 높았으며, 다양한 문제에 대해 접근하는 학생들의 열정을 볼 수 있었음.

Discussion & Implication

본 연구는 청소년 아이디어 스케치 대회의 개발과정과 적용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더 효과적인 청소년 적정기술 과학교실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번 프로그램은 당일 또는 단기적인 경진대회의 성격과 달리 학생들이 더 긴 호흡으로 대회에 참가함으로써 협력을 통해 깊이 있는 배움이 일어나고, 과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적정기술 및 기술을 통해 나눔을 경험하며, 멘토링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디자인하고 있다.
이러한 대회 성격으로 인해 참가팀은 아이디어 제안 및 중간발표를 통해 피드백을 받고 또한 멘토링을 통해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최종 발표를 하는 등 대회 과정에서 중간 중간 피드백을 받음으로써 적정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여갈 수 있었다. 이는 상당히 높은 만족도를 보인 설문조사를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청소년 아이디어 스케치 대회가 약 3-4개월의 긴 호흡이 요구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다른 단기적인 대회에 비하여 운영위원의 커미트먼트가 많이 필요했으며, 장기간 동안 운영위원과 참가팀 그리고 참가팀과 멘토들의 커뮤니케이션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플랫폼 개선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적정기술학회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 멘토 풀을 사전에 마련하고 연구회 등을 통해서 평소 적정기술의 교육철학과 프로그램 등을 사전에 확립하는 등의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겠다.
또한 해외 참가팀의 경우 언어 장벽 및 열악한 인터넷 환경으로 인해 실시간 멘토링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은 향후 적절한 질의 응답 온라인 플랫폼 구축 및 현지에서 활동을 하는 멘토들(예를 들면 유럽에서 활동하는 I-DREAM 협회 등 해외 한인 과학기술 전문가에 의한 아프리카 탄자니아팀 멘토링 등)을 확보함으로써 실질적인 멘토링이 될 수 있도록 개선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더불어, 청소년 적정기술 대회를 주관하는 다양한 단체들과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감으로써 나눔을 실천하고자 하는 과학기술자들이 청소년들에게 멘토가 되어주는 플랫폼을 마련하는 등 다양한 형식의 참여방안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정기적인 적정기술 교육연구회와 같은 활동을 통해서 현직 다양한 전공의 교사들(과학, 기술, 정보 등)과 과학기술자들이 함께 다양한 세미나 및 행사를 진행한다면 미래세대를 위한 더욱 의미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1
Preferred communication methods
jat-2022-00143f1.jpg
Figure 2
Matching satisfaction of mentor-mentees
jat-2022-00143f2.jpg
Figure 3
Number of team allocated to a mentor
jat-2022-00143f3.jpg
Figure 4
Mentoring goals prioritized by mentors
jat-2022-00143f4.jpg
Table 1.
Activities of Appropriate Technology Education Committee (Jan - Sep 2021)
구분 운영진 회의 내용 비고
준비단계(1-3월) - 미래위원회 Kick-off meeting 운영 회의
- 대회 방식 및 운영방식, 일자 등 협의, 연간계획 마련
- 중고등 대회 공문 작성
강연: 적정기술의 이해와 실천, 디자인 씽킹 연구회
접수단계(4-6월) - 접수현황, 평가위원 구성, 워크샵 준비, 멘토 구성, 소통창구 마련 운영 회의
- 6월16일 대회 개시 안내메일 발송
- 소통창구 마련: 네이버 카페, 카카오톡오픈채팅방
, 이메일 리스트, 등
적정기술 강연: 안성훈(에너지), 독고석(물), 구호정(디자인 씽킹), 이동준(에너지 전송), 허성용(아프리카 인사이트) 등 연구회
실행단계(7-9월) - 워크샵 진행 준비: 3개의 그룹이 각각 Zoom을 통해 동시 진행, 그룹별 평가위원 구성, 영상 인사말 준비 운영 회의
- 멘토링 수요조사 및 멘토 매칭, 멘토 강연 프로그램 구성 및 모니터링
- 중간발표영상 및 최종발표 심사 세부기준 마련 및 평가
Table 2.
Idea Generation programs
추진항목 세부 내용
1단계: 작품계획서 제출 주제선정 동기(문제상황 제시), 활동 계획 및 기대효과 명시
2단계: 워크샵 각 팀의 시행착오와 해결방안을 공유하면서 자신의 활동을 점검하기 위한 활동. 참가팀은 그동안 수행해 온 활동들, 질문들, 계획들에 대해 발표자료를 사전에 준비하여야 함.
3단계: 중간 발표 (3분 영상 제출) 공감: 문제의 심각성 설득하기
문제정의: 문제의핵심 원인 찾기
아이디어: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
검증: 각 아이디어에 대한 과학적 타당성 검증
연구계획: 앞으로의 활동 계획을 설명
4단계: 최종발표 및 심사 팀당 최종발표(3분), 질의응답(4분 내외)
Table 3.
Idea Generation programs
그룹 참가팀의 아이디어 제안 제목
Nature-Environment (최종발표: 18팀) 개발도상국의 교육을 위한 전자책 리더 및 교육 플랫폼, 개발도상국 학생들에게 책 읽어주기 프로젝트를 위한 오디오 전자책 플랫폼, 3D LMPB (3D Learning Materials Platform for Blinds), 교육격차를 줄이기 위한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구하기도 쉽고 만들기도 쉬운 대나무님 칫솔, 친환경마스크, 노인들을 위한 적정기술, UV 살균기, 폐기물과 폐파이프로 만드는 응급 간의 침대, 캐리어 인큐베이터, 빈민국의 위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물 확보수단, 사막화를 막는 나무 키트, 비대칭 우산으로 가방 젖는 걸 막자., 건조를 통한 식품 보관법, 3D펜 인두기, 필리핀 악다오 지역 화재 문제 해결, 산소 호흡을 위한 인공 산소 발생기 제작, Making Bio-Mask for COVID-19 Using Cellulose 등
Life-Society (최종발표: 16팀) 자전거 바퀴를 이용한 무전력 목선반 제작, 중력 퍼텐셜에너지를 이용한 정수기, 2 in 1 드럼, 페트병 전구, 따뜻한 포옹, 포대기 엠브레이스, 요리하면서 전기를 만들어 보아요, 모기퇴치팔찌, 전기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다양한 장치 개발, 태양광 살균 장치, 인공 호수를 바탕으로 오염수 및 빗물 정화하기, 버려지는 담배꽁초의 필터에 사용되는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Cellulose Acetate) 성분을 통한 물 정화 마이크로 멤브레인의 제작 및 상용화, 수소전지를 이용한 물분해, T-Bell, 큐드럼 + 정수기능, Heqet System steam to water collector, Paper Maker 유해동물이 사람에게 끼치는 피해를 어떻게 하면 줄일 수 있을까?, 천연재료를 활용한 미세먼지 여과지 등
Pioneer-Engineering (최종발표: 9팀) Covid-19에 시각장애인이 가지는 불편함 해결, 쓰레기의 무한한 변신, 쓰레기 재활용으로 만드는 늘어나는 신발, 깨끗한 물을 위한 사이펀 파이프, ship for child, 녹말칫솔, 말라리아 예방이 가능한 간이 냉장고, 시각장애인을 위한 적정기술, SMART FARM TECH(SFT), SCHOOL NECESSITY FINDER, 가짜뉴스 판별 알고리즘, 무료식사제공플랫폼, 코로나 극복하기 게임 개발, 라오스 루앙프라방 고아학교 아이들을 위한 로켓스토브를 이용한 다구화덕, 횡단보도 사고저감을 위한 주의집중용 LED 패널 설치, 3d프린팅을 이용한 저예산 알루미늄 긴꼬리배 프로펠러 등

References

Kim, G., and Kim, B. (2020).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Blockchain Appropriate Technology Science School Program of Europe-Korea Conference on Science & Technology.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6(2), pp. 190-199. (2020.
crossref
Park, K.-S., and Hong, H.-K. (201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s of Team Project-Based Appropriate Technology Design Program for Middle School Science-Gifted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15(3), pp. 239-266. [Korean Literature].
Schumacher, E.F. (1973). Small is Beautiful [이상호 옮김 (2002) 작은 것이 아름답다, 문예출판사].
Shin, K., and Lee, C.-H. (2017). Appropriate Technology in University Education: Why and How?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3(1), pp. 18-23. [Korean Literature].
Yi, K., Han, Y.-S., and Kim, K.-M. (2013). Educational Effects of an Appropriate Technology Engineering Design Workshop with the People in Need.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6(2), pp. 3-10. [Korean Literature].
crossref
TOOLS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0 Scopus
  • 2,525 View
  • 37 Download
Related article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5F, 109-ho, 39, Seocho-daero 77-gil,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31-206-0226    E-mail: editor.ejat@gmail.com                

Copyright © 2024 by Academic Society for Appropriate Techn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